●四柱八字=三代功德=改善可能性●용인철학관●
지난 글을 당겨서 일부 가필수정한다. 먼저 제시한 이치를 설파한다. 즉, 천하 중생의 그야말로 운수소관으로 각자 타고난 원기(元氣)가 비록 무겁고 重濁(중탁)할지라도 그 사람이 변화하는 대운에서 중화지령(中和之令)을 얻고 用神(용신)이 왕상(旺相)의 대운(大運)과 때를 만나면, 가난한 자일지라도 끝에 가서는 부자(富者)가 되고, 微賤(미천)한 자가 끝에 가서는 부귀(富貴)하게 되고 장수(長壽)하게 되는 “조화&균형”의 이치를 말한다.
운명과 생사의 이치를 올바르게 깨달은 사람의 지극한 物心兩面(물심양면)적인 인격수양(人格修養)은 반드시 특정 개인에게 달려 있고, 그 사람이 마음을 정하고 끊임없이 노력하면 하늘도 이길 수 있는 법칙이다. 왜냐하면, “하늘과 사람은 본래 같다=人乃天/인내천(천도교 최제우가 표방한 사상임)”라는 이치를 당겨서 추론한 결과를 설파한다.
또한, 특정 개인의 사주팔자와 대운에서 중화지령(中和之令)을 얻고 좋은 시절을 만난 다음 본성에서 적선(積善)을 더한다면 어찌 한 몸이 五福(오복)을 누릴 뿐이겠는가? 자자손손 영광되고 창성하고 넉넉하고 발달할 것은 당연한 이치가 아니겠는가? 라는 사물의 깊은 이치를 말한다.
어쩌다 타고난 본명이 편고(偏枯)하고 그러한 이유와 결과를 핑계삼아서 본성이 더욱 악업을 쌓으면 자기 자신에게 앙화가 미칠 뿐만 아니라 자자손손 남의 밑에 떨어질 것이니 어찌 인생의 인과관계(因果應報)가 없다고 큰소리 칠 것인가? 앞에서 말했듯이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은 특정 개인의 본명(本命)에 매여 있지만, 또한 그의 행실이 적선(積善)을 하는 것에도 달려있는 법칙이 필연적이라는 바꾸어 말해서 개선의 여지를 남기는 가르침을 천하에 널리 전파한다.
그렇다고 말해서 타고난 또는 길러진 본명이 중탁(重濁)하다고 판단해서 아예 개선하려는 특정 인간의지를 포기하고 방임한다면, 그야말로 깊은 수렁으로 빠지게 될 뿐이다. 인생이란 마지막 숨을 내쉬는 순간까지 좋게 향상하는 특정 인간의지를 버리지 않고 끝까지 갈고 닦는 길만이 타고난 또는 수련한 길흉화복을 자신의 특정의지대로 조율할 수 있음을 설파한다. 그래서 예부터 천하의 역리에서 “적선지가(積善之家)는 반드시 여경(餘慶)이 있고, 적불선지가(積不善之家)는 반드시 여앙(餘殃)이 있다”라고 한 말이 바로 이러한 이치를 말하는 것임을 두루두루 짐작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자면 이렇다. 약 이천오백 년 전의 깨달은 聖者(성자) “고타마 싯다르타(https://namu.wiki/w/%EC%84%9D%EA%B0%80%EB%AA%A8%EB%8B%88)”님께서 世壽(세수) 약 80세경 涅槃(열반) 당시에 둘러싼 제자에게 다음과 같이 설파하셨다. “제자여! 나의 죽음을 슬퍼하지 말라. 그저 그대들은 끝까지 끊임없이 줄기차게 용맹정진(勇猛精進)할 것을 당부하노라!” 끝
海印導師. 合掌
#용인철학관, #안성철학관, #화성철학관, #평택철학관, #동탄철학관, #경기광주철학관, #수원철학관, #강남대철학관. #용인신생아작명소.